주걱 급여란?
주거급여란 국민기초생활을 보장하는 급여로써 주거안정에 필요한 임차료, 수선유지비, 수급품을 지원하는 제도로 내가 지금 주거비로 사용하는 금액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지원대상

부양의무자의 소득이나 재산과 관계없이 신청가구의 소득과 재산만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금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6%(4인 기준 235만 원) 이하의 가구인 경우 주거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작년(2021년)에는 기준 중위소득 45%로에서 1%가 올라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더 많아졌습니다.
주거급여 신청방법
주거급여는 신청자의 주민등록 주소지 읍, 면,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하고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 접수가 가능합니다. 인터넷으로 접수가 복잡하신 분들은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주거급여 신청 시 필요한 서류가 있는데요.
- 사회보장급여 제공 신청서 및 신청인의 신분증
- 소득재산신고서
- 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 임대차(전대차) 계약서 및 사용대차 확인서
- 통장사본

주거급여 신청이 완료되면 주거급여 잘 차에 따라 소득 및 재산조사와 LH에서 주관하는 주택조사를 거쳐 심사를 하게 되니 이점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2년도 주거급여 계산하기

일단 받을 수 있는 주거급여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내가 살고있는 주거지가 어떤 급지에 속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만약 서울에 거주하신다면 1급지, 경기도나 인천일경우 2급지, 광역시 나 세종시 혹은 수도권 외 특례시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3급지 그외 지방쪽은 4급지에 속합니다.
기준임대료란 급지나 가구원수에 따라 받을수 있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이면서 서울에 살고 있다면 327,000원을 지급받을 수 있고 지방쪽에 사는 10~11인 가구는 375,000원을 지급받으실수 있습니다. 단 만약 월임대료가 기준임대료보다 적거나 생계급여 대상이 아니신경우 지급받을수 있는 주거급여 금액이 더 낮을 수도 있다는 것을 참고하실 바라겠습니다.
월세로 사시는 경우: 월세로 사시는 경우 예를들어보겠습니다. 만약 4인가구이면서 경기도의 월세 40만원집에 거주하는다고 했을때 내 월세가 40만원임에도 불구하고 391,000원을 지급받으실수 있습니다. 월세로 거주하시는분들은 계산이 어렵지 않은데요. 여기서 주의하실점이 만약 내 월세가 30만원이라면 391,000원을 지급받을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실제 월세는 30만원이니 주거급여로 30만원만 지급받으실수 있습니다.
전세로 사시는경우 (보증금 x 4% ÷ 12): 전세로 사시는경우 보증금의 x 0.04 ÷ 12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4인 가족이 경기도에서 1억 원의 전세를 내고 산다고 했을 때 1억 x 0.04 ÷ 12 =333,333원이 됩니다. 경기도의 4인 가구는 391,000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임대료는 333,333원이니 333,333원을 주거급여로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증금이 있는 월세
보증금을 어느 정도 지불하고 계속 월세로 거주하시는 분들은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보증금 x 4% ÷12)하고 월세로 지불하는 돈은 더해 계산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4인 가구가 광역시에 거주하고 5천만 원짜리 보증금에 월세 20만 원을 지불한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보증금(5천만원) x 0.4% ÷12 = 166,666. 여기에 월세는 20만원을 지불하고 있으니 166,666 + 200,000 = 366,666원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광역시 기준 4인 가구는 주거급여로 310,000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이 늘어나거나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이사를 가게 되면 가족 구성원수가 달라지니 이점도 꼭 기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스마트폰으로 고속버스 터미널 티켓 예매방법
고속버스 티켓을 스마트폰으로 예매하면 별도의 티켓이 필요 없이 QR코드로 고속버스에 탑승하실 수 있는데요. '고속버스 티머니' 어플을 사용하시면 고속버스 좌석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확인하실 수도 있으니 스마트폰으로 고속버스 터미널 티켓 예매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C로 고속버스티켓 예매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고속버스 통합예매 사이트로 예약하는방법 (코버스) 명절이나 지방 혹은 서울에 갈 일이 있다면 고속버스나 KTX 혹은 SRT를 이용하여 이동해야 하는데요. 저 같은 경우도 차를 갖고 가면 편하긴 하지만 대중교통을 사용하여 가면 더 편리해서 고속버 always-informed.tistory.com 1. 스마트폰으로 고속버스 티머니 어플 설치하기 고속버스 티켓을 스마트폰으로 예매하려면 일단 고속버스 ..
https://always-informed.tistory.com
택시, 화물운수 자격유지검사 신청방법 (고령운전자 자격유지검사)
만 65세 이상이 되셨다면 택시운송사업이나 화물자동차 운전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사고예방을 위해 의무적으로 운전적성 정밀자격검사를 진행해야하는데요. 이번글에서는 65세 이상운전자 택시, 화물운수 자격유지검사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5세 자격유지검사 자격유지검사는 3년마다 한번씩 검사를 받아야 하며 70세 이상은 1년마다 진행해야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고령운전자 자격유지검사 알아보기 (신청방법, 검사항목) 우리나라 사회는 100명 중 19.5명이 65세 이상인 고령사회인데요. 통계청에서는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8.6%를 넘어갔습니다. 이만큼 고령운전자의 수도 증가했는데요. 오늘 always-informed.tistory.com 화물운송종..
https://always-informed.tistory.com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생 청소년교육지원 장학금 알아보기 (0) | 2022.01.25 |
---|---|
국가장학금 1,2유형 (지원자격, 지원금액, 신청절차) (0) | 2022.01.24 |
국가근로 장학금 간단하게 알아보기 (교내장학금, 교외장학금) (0) | 2022.01.23 |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 (지원대상, 조건, 신청방법) (0) | 2022.01.22 |
2022년 주택정책 알아보기 (0) | 2022.01.13 |
댓글